<대입, 부호>
변수값이 -(음수)를 쓰는 경우가 있을것이다. 그럴땐 변수앞에 출력값에 변수앞에 -(음수)를 써도 된다.
하지만 그 방법 보단 자기 자신의 변수에 -(음수)를 써서 자기자신의 변수에 대입을 시켜서 사용해주는게 좋다.
일반적인 산술 연산이다.
+ : 합
- : 빼기
* : 곱하기
/ : 나누기한 몫
% : 나누기한 나머지
number4에서는 자료형이 double이다. 값을 대입을 해줘야할때도 같은 자료형인 실수로 해줘야한다. 그런데
정수 / 실수로 계산이되고있다. 연산할때 하나의 값이라도 실수가되면 컴퓨터에서는 double(실수)로 인식하여 연산이 가능하다
<복합 대입 연산자>
연산과 대입을 동시에 하는거라고 보면된다.
num1을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시켜준다. 그리고나서 += 기호를 넣어준다
+= : 자기 자신의 변수한테 임의 값을 더해주고나서 L Value값(자기 자신의 변수)에 대입을 해준다는 의미이다.
복합 대입 연산자를 쓰는 이유는 밑에 그림과 같이 주석 처리를 해놓았지만 풀어서 작성을 하게되면 코드도 길어지고
간결하지가 않다 큰 이유는 그냥 귀찮아서 복합 대입 연산자를 쓰는거다
<증감 연산자>
증감 연산자는 피연산자를 1씩 증가 또는 1씩 감소시킬 때 사용하는 연산자이다.
이 연산자는 피연산자가 단 하나뿐인 단항 연산자이다.
증감 연산자는 해당 연산자가 피연산자의 어느 쪽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연산의 순서 및 결과가 달라진다.
밑에 그림과 같이 변수뒤에 ++이 와있다. 뒤에 와있다는건 즉, 앞에도 올 수 가있다는 뜻이다.
그림을 보면 쉽게 이해가 갈거다
<관계 연산자(비교 연산자)>
말 그대로 두 값을 비교해 참, 거짓을 판별할때 쓰인다. 반환값은 오직 boolean자료형인 true와 false로 리턴이 된다.
결과1 == 결과2 : 결과값 가운데 ( == ) 기호는 두값이 같은지 확인하는 기호이다. 같은면 true, 틀리면 false
결과2 != 결과2 : 결과값 가운데( != ) 기호는 두값이 같지않은지 확인 하는 기호이다. 같지않으면 true, 틀리면 false
! : 부정을 의미한다 (모든값 앞에 !붙으면 반대인것이다.)
<논리 연산자>
논리 연산자는 true, false(관계연산자)를 혼합하여 이용한 연산자이다. 이 연산자 또한 반환 값이 treu, false로 반환된다.
쉽게 생각하자!!!
논리곱(&&) : 말그대로 그냥 곱하기로 생각하자 곱하기는 어떠한 모든 숫자는 0 이랑 곱하면 무조건 0이다.
즉!!! true(1)가 있더라도 false(0)이 있으면 반환값은 false(0)이 될 수 밖에없다.
논리합(||) : 말그대로 그냥 더하기라고 생각하자 더하기는 false(0)과 같은 false(0) 제외하고는 모든 논리합은 true(1)이다.
즉!!! 결과가 모두 false가 아닌이상 논리합의 반환값은 true(1)인것이다.
<삼항 연산자>
삼항 연산자는 어떠한 조건이 주어질때 참이면 "결과1"값, 거짓이면 "결과2"값을 반환해주는 연산자이다.
밑에 두그림으 비교하면서 보면 이해하기 쉽다
먼저 5는 4보다 값이 크다 근데 밑에 그림의 조건은 반대인 4가 크다고 되어있다 이 조건은 맞지가 않다 그럼 거짓인 40의 값을 a변수에 반환을 해준다.
즉 a의 값은 40
'개발일지 > 자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복문 (for문) (0) | 2022.08.29 |
---|---|
조건문 - (if, else, if else) (0) | 2022.08.29 |
상수, 형변환(자동 형변환, 강제 형변환) - Day2 (0) | 2022.08.26 |
데이터 타입(자료형) - Day1 (0) | 2022.08.25 |
패키지, 클래스, print(출력) - Day1 (0) | 2022.08.25 |
댓글